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블로그5

[자기성찰] 주말에 가족과 함께 여유있는 시간 소소한 행복에 감사할줄 알면서 내가 힘낼수 있는 가족과의 시간을 소중히 여기자 집에서 차로 10분거리에 있는 카페 투자외에는 정말 신경쓰지 않고 살았던 것 같다 투자에 집중할수 있게 해준 가족에게 감사하고 일주일에 적어도 한번은 가족에게 집중하는 시간을 보내자 2020. 6. 7.
[자기성찰] 리스크 관리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리스크는 더 이상 관리할지 선택하는 대상이다 금융이든 일상생활이든 리스크 헷지는 반드시 필요하다 기계가 아니면 무조건 리스크가 있다 알바하는분이 있다면, 평소에 성실했다하더라도 몸이 아프거나 한다면 어쩔수 없는것 아닌가. 보통 리스크가 터지고나서야 그다음 동일 리스크대비를 위해 조치를 취하는데 모든것은 사전에 대비해야한다. 그러기위해선 평소 메타인지를 갖춰서 어느수준까지 정비되었고 리스크 예상되는점, 리스크 헷지 방안이 필요하다. ㅡㅡㅡ 새아파트 월세로 이사가고 싶어서 몇 개 지역을 눈여겨 보았고, ㅇㅇ지역으로 이사가는 것을 와이프와 잠정 합의를 보았다. 아직은 인터넷 임장만 한 상태라 현재 바뀐 것을 보기 위해 현장임장은 가야한다. 그 전에 먼저 전화임장을 하였다. ㅇㅇ지역에서 서울접근성이 좋은 a지역.. 2020. 6. 5.
[부동산 투자정보] 21대 국회의원 30%가 다주택자 21대 국회의원 재산이 공개되었다 30% 다주택자 상위 1등 더불어민주당 박정 의원, 383억 빌딩, 경기도 아파트 2채 상위 10명 평균 145억원, 부동산 11건 이전에는 동호수까지 공개하였으나, 이제는 동호수 공개안함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1448485"21대 국회의원 30% 다주택자...상위 10명 부동산 평균 145억"[앵커] 이번 21대 국회의원들, 유달리 부동산 부자가 많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10명 가운데 3명은 다주택자였는데, 특히 상위 10명의 부동산 재산 평균을 따져보니 무려 145억 원에 달했습니다. ��n.news.naver.com ㅡㅡㅡㅡ 케어존 생각. 나의 선택이 틀리지 않았음을 증명해주는구나란 생각. 한편으론 굉장히 동기유발.. 2020. 6. 4.
[부동산 인테리어] 전월세 수리비용 누가내야하는가 [부동산 인테리어] 전월세 수리비용 누가내야하는가 안녕하세요 케어존의 투자이야기. 케어존입니다. 전세나 월세 살아본 분들은 모두 공감하실 것입니다. 임시로 새 오피스텔이나 아파트에 월세로 사셨다면 모든게 깔끔했을테니 괜찮으셨겠지만, 15년 이상의 아파트는.. 도배장판은 물론 잘 붙어있는 콘센트나 스위치 커버들이나 안의 부품들이 움직여서 사용이 힘든 경우도 많습니다. 비용이 얼마들지 않는다고해서 집주인이나 부동산에서는 세입자가 자체적으로 교체하라는 멘트를 하는데, 세입자 입장에서는 전등까지 생각하면 10만원은 적어도 넘어가는 부담되는 일인 것은 분명합니다. 법에서는 정확한 판단이 힘들다고합니다. 통상 집주인은 세입자가 생활하기 힘든 부엌, 세면대 등 인테리어이고, 세입자는 전등, 스위치 등 소모품이 대상이.. 2019. 12. 14.
[부동산 투자정보] 수요와 공급, 생애주기에 맞는 라이프스타일 고려 [부동산 투자정보] 수요와 공급, 생애주기에 맞는 라이프스타일 고려 안녕하세요 케어존의 투자이야기. 케어존입니다.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려면 아래 내용들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1.수요 2.공급 공급은 신규 아파트나 재건축, 재개발, 뉴타운, 신도시의 물량을 본다고 한다면, 수요는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요? 우리의 나이에 맞는 라이프스타일을 생각하면 어느정도 답이 나옵니다. 0~7세 : 유치원 다수, 주변 유흥이나 위험 공간이 없는곳 8~19세 : 학군, 학원 - 유명 학군이나 학원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서 아이가 등하교, 등하원의 시간도 줄여주고 횡단보도 건너는 횟수를 최소화하여 사고위험을 줄이기 위함 20~26세 : 대학교 근처, 원룸 27~50세 : 직장 근처, 원룸, 아이가 .. 2019. 12. 11.